XP Mode가 설치되지 않을때
구형 개발툴 몇가지 때문에 XP Mode를 설치하려 하니, 왠일인지 설치가 되지 않더군요. CPU 사용율을 봐도 뭔가 작업이 진행되지 않는 것 같고, 가상 컴퓨터를 시작하는 중... 에서 진행바가 끝가지 넘어가도 실행되지 않다가 나중에 에러를 띄우는 그런 문제,,, 관련 문제가 보고된 적도 없고, 노트북 이전에 Windows 시스템에서는 XP Mode를 설치하는데 크게 문제가 없었던것을 봤을 때, 처음에는 노트북 문젠줄 알고 설치를 못하나 싶었는데,,, 설치할 때 옵션을 바꿔보니 정상적으로 실행 되더군요. 그 옵션은 자동 업데이트 설정인데, 이걸 사용하지 않음으로 선택해 놓고 설치를 진행하면 설치가 제대로 진행되네요. 무엇이 원인인지를 잘 모르겠지만, 자동 업데이트 설정을 지우면 설치가 정상적으로 진행됩..
더보기
무선 멀티브리지를 구성하는 확실한 방법 (무선 WAN기능이 없을때)
보통 유선 - 무선 - 유선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려 할 때, 무선 멀티브리지의 무선 WAN 기능을 이용하면 쉽게 설정할 수 있지만, 일부 낮은 가격대의 공유기들이나 일부 회사의 제품들 중에 무선 멀티브리지의 기능은 있는데 무선 WAN 기능이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N104T라던지, N104T라던지, N104T라던지,,,,) 이 경우, 무선 멀티브리지의 기능을 최대한 이용하여 수동으로 무선 WAN 역활을 하도록 맞춰 줘야 하는데, 그 방법은 인터넷에서 ipTIME기준으로 관련 강좌가 자세하게 되어 있습니다,,,만. 제가 보기에는 너무 부족해 보이고 올바르지 않아 무선 멀티브리지를 구성하는데 힘들었습니다. 여러번의 삽질 끝에 저는 이런 방법으로 무선 멀티브리지를 정상적으로 구성하였고 몇가지..
더보기
삼성 옴니아가 옴레기로 불린 이유.
옴니아가 옴레기로 불리게 된 계기는 당연 하나입니다. 윈도우 모바일 이라는 매니악한 운영체제를 쓴 PDA폰을 매니아성이 있지 않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팔았다는것,,, 저도 잠시 윈도우 모바일 유저였긴 했습니다만,,, 윈도우 모바일은 정말, 개인적으로 아주 마음에 들었어요. 아래 글에서 언급한대로 스크립트로 자동화하는데 한계가 없고(심지어 셀타워 코드를 이용해서 기능을 자동화 할 수 도 있어요), 시스템 시큐리티만 해제하면 용량이 허락하는 한 무한한 기능추가와 무한한 테마와 최적화가 가능하다는 것,,, 그 점에 있어서 옴레기라고 불린 옴니아와 옴니아2 는 하드웨어 사양으로 보면 GPU가 아쉽긴 했지만 윈도우 모바일 매니아로써 볼 때 상당히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실제 CPU 연산능력은 상당히 좋았..
더보기